교토대학대학원과 옥스포드대학의 국제공동연구그룹은 가상현실(VR)에 의한 부분관측미로에서 탐색 중에 예상한 주변의 풍경(장면 예측)과 그 예측에 대한 자신의 정도(주관적 확신도)가 , 뇌 활동에서 해독할 수 있었다는 것을 계시했다.

 사람은, 예를 들면 길을 잃은 경우, 이동하면서 먼저 출현하는 장면을 예상하고, 그 예측과 새롭게 얻어지는 관측을 비교하여 위치의 예상을 갱신한다.이때의 '예상'은 뇌 내에 만들어낸 '가상현실'이다.또, 예상에 대한 자신감은 이 가상 현실의 표현에 영향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뇌 내의 가상 현실과 사람이 내성적으로 생각하는 자신감이 뇌 활동에서 인공 지능(AI)에 의해 꺼낼 수 있는지, 또 자신이 있을 때 가상 현실을 잘 재현할 수 있는지를 조사했다. .

 그 때문에, 사전에 미로의 지도를 기억한 실험 참가자에게, 격자상으로 방이 늘어선 VR 미로내를 탐험하는 공간 이동 게임을 실시.이동하는 방의 장면을 문을 열기 전에 예측하고, 또 그 예측에 대한 자신감(확신도)을 회답시켜 뇌 활동을 계측했다.

 그 위에 AI 기술을 이용하여 뇌 활동에서 예측 장면과 그 예측에 대한 확신도를 해독할 수 있는지를 조사했다.그 결과, 예측 장면은 뇌의 상두정소엽·하두정소엽과 등측 운동 전야로부터, 예측에 대한 확신도는, 또한 전방 전두전야로부터도 해독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또한 장면 예측의 해독 성능이 예측에 대한 확신도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았다.

 이번 연구 성과에 따라 앞으로 뇌와 기계를 직접 연결하는 기술이나 드론이나 차량 등 공간 이동에 있어서 뇌와 AI를 연결한 제어법 등 새로운 응용이 기대된다고 한다.

논문 정보:【Communications Biology】Confidence modulates the decodability of scene prediction during partially-observable maze exploration in humans

교토

「자중 자경」의 정신에 근거해 자유로운 학풍을 기르고, 창조적인 학문의 세계를 개척한다.

자학 자습을 모토로 상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의 학풍을 계속 지켜 창조력과 실천력을 겸비한 인재를 키웁니다.학생 자신이 가치 있는 시행착오를 거쳐 확실한 미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성과 계층적이고 다양한 선택사항을 허용하는 포용력이 있는 학습장을 제공합니다. […]

대학 저널 온라인 편집부

대학 저널 온라인 편집부입니다.
대학이나 교육에 대한 지견・관심이 높은 편집 스탭에 의해 기사 집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