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5/10
자폐증 원인은 태아기의 조혈계 세포의 이상, 고베 대학이 해명
고베대학대학원 내장투교수들의 국제공동연구그룹은 특발성 자폐증의 원인이 태아일 때 조혈계세포의 후성유전증(주)인 이상이며, 그 결과가 뇌와 장에서 보인다 면역 이상임을 밝혔다.
면역 이상은 현재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자폐증의 발병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뇌내 염증과 말초 면역계의 장애는 자폐증 환자에서 자주 관찰됩니다.또한, 면역 이상은 장내 세균총의 이상을 병발하고, 뇌와 장의 연관(뇌장축)에 의해 발병에 관여한다고 한다.그러나 이러한 면역 이상 뒤에있는 메커니즘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자폐증 발병에서 면역 장애의 중요한 발달 단계와 면역계의 광범위한 참여를 고려하여, 연구팀은 공통 병인이 광범위한 면역 조절 부전의 근본적이고 다른 유형의 전구 세포에 있다고 가정했다. .면역세포의 기초가 되는 혈구계 세포에 주목, 게다가, 태아시의 조혈에 관련된 난황낭(YS)과 대동맥-생식선-중신(AGM)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을 실시했다.
연구군은 자폐증 모델 동물의 BTBR 마우스를 이용하여 AGM 혈구계 세포를 분석하고, 면역 이상의 병인으로서 HDAC1(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1)을 동정하였다.또한, YS 혈구계 세포의 해석에 의해, 마이크로글리아(중추신경계 글리아세포의 하나로 중추의 면역을 담당) 발달 이상의 병인으로서 마찬가지로 HDAC1을 동정했다.실제로, 태아기에 HDAC 활성을 조절(HDACXNUMX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마우스의 뇌내 염증 및 면역조절부전을 개선하였다.또한, 장내 환경, 특히 면역계의 변화가 생쥐의 장내 세균총의 이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 자폐증의 병태분류가 진행됨에 따라 자폐증을 비롯한 신경발달증의 새로운 치료 전략의 창출이 기대된다고 한다.
참고 : DNA의 염기 서열이 동일하더라도 DNA에 화학 물질이 수식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이 다른 유전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