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7/25
마스크의 사용 실태와 부착하는 세균·진균의 검증, 세계에서 처음으로 킨키 대학이 해석
킨키 대학 의학부의 박 마사미 강사들의 연구 그룹은, 마스크의 사용 상황이나 생활 습관과, 마스크에 부착하는 세균·진균과의 관련성을 세계에서 처음 해석.위생적이고 올바른 마스크 착용법의 계발에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코로나 화에 의해 마스크를 상시 착용하는 생활 스타일이 정착.부직포 마스크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효능은 널리 연구되고 있으며, 실내나 회식을 하는 장면에서는 착용이 추천되고 있다.그러나, 사용후 마스크의 위생면, 특히 부착된 세균이나 진균의 실태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연구그룹은 자원봉사자 109명에게 마스크 사용에 관한 앙케이트(소재, 사용일수 등)보다 사용실태를 조사.마스크의 내측·외측에 부착된 세균과 진균을 배양하고, 균의 수·종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박테리아의 수는 마스크의 안쪽에서 많았고, 곰팡이의 수는 마스크의 외부에서 많았다.또한, 마스크의 사용일수가 길수록, 진균의 수는 유의하게 증가했지만, 세균의 수는 증가하지 않았다.또한, 대중교통기관의 이용 유무나 양치질 습관 등의 조건이 균의 증감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번 검출된 세균·진균의 대부분은 통상 병을 일으키지 않는 균이지만, 황색 포도상구균, 부성 포도상구균, 슈도모나스·루테오라균, 케카비, 아스페르길루스, 폰세카에 등, 질병의 원인이 되는 균도 검출되어 했다.마스크의 계속 사용에 주의해, 1일 정도로의 교환이 추천된다.또한, 유해한 박테리아는 마스크 외부에서 많이 검출됩니다.마스크 장착시 내측, 외측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코로나 옥에서 새로운 습관이 된 마스크 착용에 대해 위생적이고 올바른 방법의 계발에 활용할 수 있다고 한다.
논문 정보:【Scientific Reports】Bacterial and fungal isolation from face masks under COVID-19 pande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