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6/2
아이들은 마스크를 한 상대의 표정을 읽을 수 있습니까?시즈오카 대학과 기오 대학이 검증
시즈오카대학과 기오대학의 연구그룹은 마스크와 선글라스로 얼굴 일부가 숨겨진 상대의 표정에서 3~5세아가 얼마나 감정을 읽을 수 있는지 조사했다.결과적으로, 얼굴의 일부가 숨어 있을 때는, 얼굴의 전부가 보일 때보다 상대의 감정을 읽기 어렵게 되지만, 가장 정답률이 낮았던 선글라스 착용에서도 약 80%는 정답할 수 있는 것, 더해, 감정을 담은 음성을 수반한 경우는 거의 100% 정답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확대 이후, 일상생활에서 마스크를 착용할 기회가 급격히 늘어났지만, 얼굴의 표정을 인식하는 능력의 발달 도상에 있는 아이들에게, 얼굴의 일부가 숨기는 마스크의 착용은, 감정 읽기를 방해할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취학아를 대상으로 마스크나 선글라스로 얼굴 일부가 숨겨진 상대의 감정을 읽는 것이 얼마나 어려워지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또한 감정 읽기를 촉진하는 궁리로서 감정을 담은 목소리를 함께 듣는 효과도 검토했다.
시즈오카 대학 교육학부 부속 유치원에 다니는 3~5세의 유아 27명에 조사에 참가해, 얼굴 화상의 종류와 음성 유무의 조건을 바꾸면서, 기쁨·슬픔·분노·놀람의 4개 중 지정한다 감정을 나타내는 얼굴 이미지를 골랐다.
조사 결과, 얼굴이 모두 보일 때의 정답률이 거의 100%였던 것에 대해, 마스크나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는 얼굴에서는, 정답률의 저하가 인정되었다.그러나 마스크 착용에서도 약 90%, 선글라스 착용에서도 약 80%는 정답할 수 있어 얼굴 일부가 보이지 않는 것이 감정 읽기에 미치는 악영향은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이 시사되었다.게다가 감정을 담은 음성을 함께 들었을 때는 얼굴 일부가 숨어 있어도 거의 100% 정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얼굴의 일부가 숨기는 것이 미취학아의 감정을 읽는데 큰 우려가 될 정도의 영향은 주지 않거나, 감정을 담아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아이는 상대의 감정을 이해하기 쉽게 될 것이 밝혀졌다.향후, 다양한 장면에 있어서의 마스크의 착용에 관한 판단에, 본 연구의 지견을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