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운동은 후속 신체 활동량의 감소와 체온의 저하를 초래하여 체중 증가를 촉진할 가능성이 밝혀졌다. 쓰쿠바 대학의 그룹이 발표했다.

 운동은 유력한 체중 감량 전략 중 하나이지만 신체적 부하가 큰 고강도 운동은 때로는 과도한 스트레스 응답을 유발합니다. 마우스나 래트에서는, 고강도 운동에 의해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코스테론」의 분비가 촉진되는 것이 분명해지고 있다.

 코르티코스테론은 취침시에 낮고, 기상시에 높아지는 개일 리듬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 활동량의 조절에도 관여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그룹은 고강도 운동에 의해 코르티코스테론 분비의 일일 리듬이 흐트러지면 신체 활동이 저하되고 체중 감량 효과가 희미해지는 것이 아닐까 가설을 세웠다.

 이 가설을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고강도 운동 후, 신체 활동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심부 체온이 저하(열산생이 저하)함으로써, 식이 섭취량이 변화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없이 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고강도 운동 후에는 신체 활동과 심부 체온의 동조성이 흐트러지는 것도 발견했다. 통상, 일상 리듬에서 신체 활동의 위상은 체온에 선행하지만, 고강도 운동에 의해 그 관계는 역전되어, 체온의 위상이 신체 활동에 선행했다고 하고 있다.

 또한, 기상시의 혈중 코르티코스테론 농도가 낮을수록 신체 활동량이 낮다는 관계성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격렬한 운동에 의해 신체 활동과 체온의 동조성이나 코르티코스테론의 개일 리듬이 흐트러지면, 그 후의 신체 활동과 체온이 저하되어, 체중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에 의해 운동에 의한 체중 감량 효과를 끌어내는 데 있어서는 운동 자체의 에너지 소비량뿐만 아니라, 그 후의 신체 활동성이나 개일 리듬도 고려한 운동 강도의 설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논문 정보:【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Acute Vigorous Exercise Decreases Subsequent Non-Exercise Physical Activity and Body Temperature Linked to Weight Gain

쓰쿠바대학

학제 융합·국제화에의 도전을 계속해, 지성과 인간성을 갖춘 인재를 육성

학문문화의 향기 높은 국제도시, 쓰쿠바사이언스시티의 핵심이 되는 녹지 넘치는 쓰쿠바대학.현재의 교육 체제는 9 학군·23 학류, 모든 분야로부터 전문 도입적인 과목을 이수할 수 있어, 창조적인 지성과 풍부한 인간성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사혼 이재로 지구 규모 과제 해결 […]

대학 저널 온라인 편집부

대학 저널 온라인 편집부입니다.
대학이나 교육에 대한 지견・관심이 높은 편집 스탭에 의해 기사 집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