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쿠바대학 의학의료계 야마다 요준 교수 등의 연구그룹은 "건물을 먹으면 목이 마르는지"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냄새나 쿠키 등 수분이 적은 음식을 먹으면 목이 마르고, 카즈노코처럼 염분이 많은 음식을 섭취한 경우에도 목이 마른다. 이런 목의 갈증이나 배고픔은 뇌가 만들어내는 주관적인 감각이지만, 우리가 느낀 대로 몸 속에서 목의 갈증이나 배고픔은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이번에 본 연구에서는 건조물을 먹었을 때 일어나는 몸 속의 생리적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목마름을 수치화하는 수법을 개발했다. 목마른 감각은 혈액의 삼투압과 잘 상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공복 정도는 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인 그렐린이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거기서, 음식의 조절이 가능하고 인간에 가장 가까운 실험 동물의 맥삭 원숭이(일본 원숭이와 히말라야 원숭이)를 이용하여, 마른 크래커(건빵과 같은 고형 사료)를 먹기 전후의 혈중의 삼투압과 그렐린의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혈액의 삼투압은 4마리의 모든 원숭이에서 크래커를 먹은 후 상승하여 목마른 것을 반영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그렐린은 4마리 중 3마리의 원숭이로 크래커를 먹은 후 떨어지고 배가 부풀어 오른 상태를 반영했다. 이들 지표는 원숭이의 음수량이나 급이량과 잘 일치한 변화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목의 갈증과 배고픔 정도의 변화를 삼투압이나 그렐린의 측정으로 수치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본 연구 성과는 건강 유지뿐만 아니라 목마른이나 배고픈 등 욕구의 이상에 관련된 질병(우울증, 다음증, 과식증 등)의 평가에도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논문 정보:【eNeuro】A Method for Evaluating Hunger and Thirst in Monkeys by Measuring Blood Ghrelin and Osmolality Levels

쓰쿠바대학

학제 융합·국제화에의 도전을 계속해, 지성과 인간성을 갖춘 인재를 육성

학문문화의 향기 높은 국제도시, 쓰쿠바사이언스시티의 핵심이 되는 녹지 넘치는 쓰쿠바대학.현재의 교육 체제는 9 학군·23 학류, 모든 분야로부터 전문 도입적인 과목을 이수할 수 있어, 창조적인 지성과 풍부한 인간성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사혼 이재로 지구 규모 과제 해결 […]

대학 저널 온라인 편집부

대학 저널 온라인 편집부입니다.
대학이나 교육에 대한 지견・관심이 높은 편집 스탭에 의해 기사 집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