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세다대학, 국립정신·신경의료연구센터, 요코하마시립대학의 연구그룹은 외력에 의해 손상된 시신경의 재생이 CRMP2라는 단백질의 인산화 억제에 의해 촉진됨을 밝혔다.
뇌나 척수 등의 중추신경계는 한 번 데미지를 받으면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신경질환의 치료가 어렵다.재생에는 신경세포가 새롭게 만들어지는 신경신생과, 한번 절단·손상을 받은 신경의 축삭이 다시 신장하는 신경축삭 재생이 있다.어른의 뇌에서의 신경신생은 증식이나 분화의 제어의 메카니즘에 불명한 점이 많다.한편, 중추신경계에는 신경축삭 재생이 저해되는 구조가 있다.
연구그룹은 중추신경계가 손상되었을 때 신경세포측에서 인산화하는 CRMP2라는 단백질에 주목. CRMP2는 미세소관 결합 단백질의 하나로, 비인산화 상태로 미세소관에 결합하여 미세소관의 안정화와 중합을 촉진한다.지금까지도 척수의 손상 모델로, 독자적으로 개발한 CRMP2의 인산화를 억제한 유전자 개변 마우스는, 야생형의 마우스보다도 운동 기능 회복이 양호한 것을 보고해 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시신경의 손상 모델로 이 유전자 개변 마우스를 이용하여, CRMP2의 인산화 억제가 손상 후의 신경축삭 재생에 유효한가를 검토.그 결과, 시신경 손상 직후에 일어나는 미소관의 탈중합이 경도이고, 망막 신경절 세포의 탈락이 적었다.또한, 신경 재생 마커 GAP43의 발현 증가가 보이고, 신경 재생이 현저하게 촉진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향후, 시신경 손상과 같은 병태로 보이는 녹내장 등의 안과 질환이나 ALS 등의 신경계 변성 질환에 대해서도, CRMP2의 인산화 억제에 의한 병의 진행 억제의 가능성이나, CRMP2 인산화 억제제의 유효 성에 관해서, 유전자 변형 마우스를 이용하여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