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17
이화학 연구소, 오사카 대학 등 초 내열 단백질의 설계 가능
이화학연구소, 고휘도 광과학연구센터, 오사카대학의 공동연구그룹은 100℃ 이상의 온도에서 서식하는 박테리아가 생산하는 단백질이 왜 높은 내열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성공했습니다.인공적으로 내열성을 가진 단백질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고 하고, 향후의 기능성 분자의 이용에 크게 공헌할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은 생물체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이며 생존에 필요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합니다.단백질은 20종류의 아미노산이 사슬처럼 연결되어 정밀하게 접히는 것으로 그 기능을 발휘합니다.많은 단백질은 열을 가하는 등하면 접힌 것이 무너지고 기능을 잃어 버립니다.안정성에는 접힌 때에 인접한 아미노산끼리가 얼마나 견고하게 달라붙는가가 관계하고 있습니다.그러나 소수성(물을 튀는 성질)이나 정전기 등 다양한 요인이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어, 이러한 요소가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는 지금까지 알지 못했습니다.
2006년 그룹은 150℃ 이상의 온도에서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단백질을 발견했습니다.정전기가 쌓이기 쉬운 부분이 많이 있어, 그것이 내열성에 중요하다고 추정되고 있었습니다.이번 연구에서는 이 단백질과 통상의 단백질의 비교를 하면서, 열을 가했을 때의 변화의 모습을 관찰했습니다.그 결과, 지금까지 중요하다고 여겨지고 있던 정전기의 효과에 더하여, 소수성도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밝혔다.
이 발견은 앞으로 단백질을 베이스로 한 재료의 설계에 있어서 중대한 지침의 전환을 육박하게 될 것입니다.이번 발견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실증 실험을 반복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만, 큰 단서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틀림없습니다.
2006년 그룹은 150℃ 이상의 온도에서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단백질을 발견했습니다.정전기가 쌓이기 쉬운 부분이 많이 있어, 그것이 내열성에 중요하다고 추정되고 있었습니다.이번 연구에서는 이 단백질과 통상의 단백질의 비교를 하면서, 열을 가했을 때의 변화의 모습을 관찰했습니다.그 결과, 지금까지 중요하다고 여겨지고 있던 정전기의 효과에 더하여, 소수성도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밝혔다.
이 발견은 앞으로 단백질을 베이스로 한 재료의 설계에 있어서 중대한 지침의 전환을 육박하게 될 것입니다.이번 발견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실증 실험을 반복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만, 큰 단서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틀림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