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 비만에 고혈압, 고혈당, 혈중 지질 이상 등의 증후가 동시에 겹친 대사 증후군은 순환기 질환 등의 발병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유병률이 높다.한편, 직장에서의 일의 양적 부담의 많음, 재량권의 낮음, 상사나 동료로부터의 지원의 낮음, 교대제 근무 및 장시간 노동 등, 바람직하지 않은 직장의 심리 사회적 요인이, 메타볼릭 증후군 을 구성하는 고혈압이나 비만 등의 발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러나 리스크 요인이 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망라하고 그 관련 정도를 밝힌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
기타사토대학 등 연구그룹은 양자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이들을 검토한 연구논문 중 긍정적인 연구디자인을 채용한 질 높은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했다.그 결과, 직장에서 불리한 심리사회적 요인에 노출된 근로자의 대사 증후군 발병 위험은 근로자에 비해 1.4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심리 사회적 요인 중에서 일의 양적 부담이 높고 재량권이 낮은 것의 조합인 일의 스트레인과 교대제 근무가 비교적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대사 증후군 발병과의 관련 심지어 견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개별적으로 검토되어 온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인과 대사 증후군의 발병과의 관계를 세계 최초로 포괄적으로 조사하여 광범위한 직장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리스크 요인임을 밝힌 것이다.본 연구 성과에 의해 직장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노동자의 순환기 질환 발병을 일으키는 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