홋카이도 대학의 연구 그룹은 사람들이 연애 상대에게 느끼는 열정은 연인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사회만큼 강한 것을 처음으로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지금까지의 국제비교연구에서 연애관계에서의 열정은 일본인 등 동아시아인보다 미국인을 비롯한 북미인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이 현상은 '북미인은 개인주의적이고 독립적', '동아시아인은 집단주의적이고 대인관계 중심주의'라는 기존 문화심리학 이론에서는 설명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연구그룹은 이러한 열정의 문화차의 원인이 각 문화권에 있어서의 연인 선택의 자유도, 즉 「관계 유동성」의 차이에 있다고 생각했다.북미사회처럼 연애관계의 유동성이 높고 매력적인 연애 상대를 끊임없이 서로 빼앗는 경쟁사회에서는 사람들은 연인이 자신보다 매력적인 이성으로 갈아타는 것이 아닐까 불안을 느끼기 쉬워진다.그럴 때 열정적인 사랑은 상대방에 대한 헌신적인 행동을 통해 상대방의 불안을 없애고 안정적인 연애관계를 유지하는 데 이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조사를 실시해, 일본인과 미국인을 대상으로, 연인에 대해 느끼고 있는 열정의 힘이나 연애 관계의 선택의 자유도 등을 선택식으로 물었다.그리고 일본인과 미국인의 평균치를 비교한 결과 일본인보다 미국인이 연인에 대해 더 강한 열정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이러한 열정의 사회차는 일본사회보다 미국사회가 연애관계 선택의 자유도가 높아 통계적으로 설명되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연애관계에 있어서의 열정이라는 인간의 배우 행동을 뒷받침하는 기본적인 감정의 힘이 사람들을 둘러싼 사회의 특징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실증적으로 나타낸 첫 성과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