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빈곤이 사회 문제가 되는 요즘, 부모의 사회 경제 상황이 나쁘다고, 생후 곧부터 아이의 건강에 악영향이 있는 것이 아닐까 우려되고 있다.예를 들어, 유아가 월령이나 성별로부터의 기대치에 따라 발육하지 않는 '체중증가 불량'은 그 후의 발육이나 인지능력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는 심각한 상태다.

 육아 가구에 대한 사회보장이 까다로운 영국이나 덴마크의 연구에서는, 부모의 사회경제 상황과 그 아이의 체중 증가 불량과의 사이에 관련은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어떨까.키타사토대학의 연구그룹은 전국에서 추출한 13년생 34,594명과 22년생 21,189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의 사회경제 상황과 아동 생후 18개월까지의 체중증가 불량의 관계를 조사했다.

 결과 가구소득이 상위 4/1 가구와 비교하여 하위 4분의 1 가구에서는 유아가 체중증가 불량에 빠지는 비율이 1.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또, 이 경향은 13년, 22년생의 유아의 양쪽 모두에서 볼 수 있어, 시대에 관계없이 일관하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체중 증가 불량의 메커니즘까지는 특정되어 있지 않지만, 경제적 이유로 영양이 있는 식사를 준비할 수 없거나, 네그렉트에 의해 영양이 부족한 것이 개재되어 있다고 생각된다고 한다.따라서 유아의 체중 증가 불량 예방에는 부모에 대한 경제 지원이 필요하다.예를 들어, 일본의 가족관계 사회보장비의 GDP비는 13년(0.6%)에서 22년(1.3%)에 걸쳐 증가하고 있지만, 22년의 영국(4.0%)이나 스웨덴(3.6%) )와 비교하면 아직 적은 현상에 있다.

 연구그룹은 아이들에게 사회보장을 늘리는 것, 저소득가정에 대한 식량지원, 임신부터 육아까지 끊임없는 지원에 의한 네그렉트 예방 등을 대책안으로 꼽고 있다.

논문 정보:【Frontiers in Pediatrics】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and Weight Faltering in Infants in Japan

키타사토 대학

생명과학의 종합대학으로서 세 분야에서 종합적으로 접근

키타사토대학은 병원과 연구소, 대학원, 전문학교 등 다양한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유기적인 '지식' 네트워크로 생명과학의 프론티어를 한 걸음씩 개척하고 있습니다.생명현상을 밝히기 위해 세 가지 분야, '생명과학의 기초적 연구를 하는 분야', '동식물과 환경에 관한 분야', '인간의 생명과 건[…]

대학 저널 온라인 편집부

대학 저널 온라인 편집부입니다.
대학이나 교육에 대한 지견・관심이 높은 편집 스탭에 의해 기사 집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