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고야 대학 등의 연구 그룹은 젊은 골수 단구성 백혈병(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JMML)의 소아 환자에서 포괄적인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여 새로운 원인 유전자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JMML은 유아기에 일어나는 난치성 소아암의 일종.이전의 연구에서 RAS 경로 (세포 증식과 관련된 세포 내의 신호 전달 경로 중 하나)와 관련된 5 가지 원인 유전자가 발견되었지만 일부 사례의 원인 유전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 그룹은 150명의 JMML 환자에 대해 차세대 시퀀서라는 강력한 분석법을 구사한 다양한 유전자 분석을 실시했다.그 결과, RAS 경로 유전자에 이상을 인정하지 않는 3명의 환자로부터, ALK/ROS1 티로신 키나아제가 관련한 이상한 유전자의 융합을 발견하였다.그 중 2명은 표준 치료(화학요법이나 골수 이식)에 반응하지 않았고, 발병 후 조기에 사망하고 있어 매우 예후 불량이라고 생각되었다.다른 환자는 연구 기간 동안 발병하고 운이 좋게 진단 후 조기에 티로신 키나아제 융합 유전자를 동정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미 폐암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있는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를 사용 표적 치료를 실시했다.그러면 투여 시작 후 약 1개월 만에 종양 세포가 거의 완전히 사라지고 질병을 완치할 수 있었다.
또한, 전체 메틸화 해석의 결과에서는 JMML 환자 중에 유전자의 제어에 관련된 DNA의 메틸화에 이상을 야기한 「고메틸화군」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다른 환자와 비교하여 매우 에 예후가 나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성과로부터, 티로신 키나제 관련 융합 유전자에 대한 억제제를 이용한 치료나, DNA메틸화에 기초한 층별화 치료(질환의 악성도에 따른 적절한 강도의 치료를 실시하는 방법)의 개발에 의해, 향후 의 JMML의 치료 성적 향상이 기대된다고 하고 있다.
논문 정보:【Blood】Integrated molecular profiling of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