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4/1
아토피성 피부염의 진행 억제에 키틴 NF가 효과 돗토리 대학이 발표
돗토리 대학 농학부·도와생 조교, 공학부·이후쿠 신스케 준 교수 등의 연구 그룹은, 게·새우 껍질을 원료로 하는 극세 섬유 “키틴 나노 화이버(키틴 NF)”의 도포가 아토피성 피부염의 진행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발표했습니다.
게의 튀김이 전국 톱 클래스의 돗토리현에서는, 게를 먹었을 때의 게의 껍질의 유효 이용이 과제가 되어 왔습니다.돗토리 대학의 연구 그룹은 지금까지 폐기물이 되어 온 게 껍질에서 주성분인 '키틴'을 나노섬유로 꺼낸 '키틴 NF'를 개발, 도포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의 진행 가 억제되고, 또한 피부의 염증의 진행도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에서는, 아토피성 피부염 모델 동물에 「키틴 NF」 도포하면, 염증 등의 면역 반응에 있어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전사 인자 「NF-κB※」의 작용이 억제되어, 혈액 중의 「면역 글로불린 E( IgE)※」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았습니다.한편, 종래의 「키틴」에는, 그 효과는 인정되지 않고, 폭이 약 10나노미터의 나노 화이버(극세 섬유)로 하는 것으로, 피부의 배리어 기능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고 생각 되었습니다.
향후, 연구 그룹은, 「키틴 NF」의 실제 사용을 향한 연구를 실시해,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이나 치료 등에의 응용을 목표로 합니다.덧붙여 이 연구 성과는, 온라인 과학지 「Carbohydrate Polymers」에서 공표되고 있습니다.
※NF-κB란, 스트레스나 자외선 등의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어, 아토피성 피부염등의 염증이나 암과의 관련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면역글로불린 E란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환자의 혈액 중 농도가 상승하여 가려움 물질 등의 급속한 방출을 촉진합니다.